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TW-Kai+은궁서  합치기 하기 전에 다른 것을 미리 해보았습니다.

그런데 공개된 무료 파일이 아닌것 같아서  저도 사용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공유도 하지 않습니다.  요청도 받지 않습니다.

사례를 보시고 직접 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과정은 보여 드리겠습니다.

제가 폰트를 사용해서 만든 문서를 인터넷에 올릴 예정이기 때문에  무료폰트를 사용하려고 한 것입니다.

 

1. 폰트 확인

합치기 하기 전의 파일들 입니다.

앞 글에서 밝혔듯이 한자 폰트를 마구마구 다운로드 받아 보았는데,  각각의 파일을 어디에서 받았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위 그림에 나오는 폰트 이름으로 검색해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DFPLiKaiShu-Md font download"  이런식으로 구글에서 검색하시면 됩니다.

위 그림은  DFPLiKaiShu-Md/HY궁서/은궁서 3개 폰트가 지원하는 글자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3개 폰트를 이용해서 아래와 같이 2개의 폰트로 합치기 작업을 해 보았습니다.

 

폰트 합치기 하는 방법은 오른쪽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폰트합치기 방법 링크  

 

 

2. 폰트 합치기 결과

DFPLiKaiShu-Md 폰트 파일에 HY궁서 파일과  은궁서 파일의 한글만 복사해서 붙여넣기 했습니다.

 

한자는 전적으로 DFPLiKaiShu-Md를 사용하고 한글만 붙여넣은 사례입니다.

 

은궁서 파일의 한자를 남겨두고  모자란 한자만 붙여넣기 하는 작업은 해보지 않았습니다.

대만 TW-Kai 파일을 찾는 바람에 이 작업은 중단했습니다.

저작권이 걸려있는 파일 같아서 작업을 중단했습니다.

 

3. 쓸만해 보이는 한자 폰트

마구 마구 다운받은 파일 중에 쓸만한 것 같은 폰트 입니다.  폰트 이름만 제공합니다. 

한자 사례입니다. 

4~5백개 정도 다운받아서 테스트해 본 것 같습니다.  문제 있는 파일은 다 지워버렸습니다.

600메가  800메가  4.2기가  이런 파일들 받아 보았는데,  다 문제가 많습니다.그런 파일들 발견하면 무시하시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필요하시면 아래 폰트 이름을 입력하시고 검색하시는 것이 빠를 겁니다.

 

한글 폰트는 윈도우에 설치된 기본 글꼴을 사용하시거나 구글에서 Noto_Sans_KR이나

Noto_Serif_KR을 다운받아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나중에 확인해 보니 Noto 폰트에 없는 한자가 발견되었습니다.  그래서 GitHub에서 source-han-sans(본고딕), source-han-serif(본명조) 파일을 받아서 사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아래 그림에서 폰트 이름은 맞는데,  인터넷에서 다운받을때의  파일 이름은 한자로 되어 있어서 다를 수 있습니다.한자로 된 파일 다운받아서 컴퓨터에 설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이름으로 나타납니다.

 

해서체 아닌 놈들도 있습니다.   한 글자 정도 지원하지 못하는 놈들은 아쉬워서 지우지 않고 놔둔 겁니다.간단한 한자만 사용하는 문서에선 저런 폰트도 활용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Posted by 어쩌다 글쓰기
|

문중에서 족보 관련해서  수단용지를 작성해서 제출하라는 요청을 받고 수단을 입력하려다가 한자폰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폰트에 따라서 글자모양이 다르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한글을 먼저 입력한 후에 한자로 변환해야 하는데  옛날 족보책에 인쇄된 글자랑 컴퓨터에서 한자변환할때 보이는 한자랑  글자모양이 달라서 정확한 글자를 찾았는지 아리송할때가 많았습니다.

 

약간의 통밥과 지레짐작으로 한자를 찾았기에,  확신이 없는 거죠.

그래서 한자를 해서체로 바꿔보면 제대로 잘 찾았는지 알수가 있을것 같아서 한자폰트를 알아보게 되었는데, 폰트 관련 법적분쟁이 있다는 뉴스를 본 것 같아서  공짜 폰트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1. 한자폰트 마구 마구 다운로드

구글 검색을 통해서 수십개의 한자 폰트를 다운받아서 확인해 보았는데,  아래 그림과 같이 공짜 폰트들은 없는 글자가 많습니다.  수단(족보) 작업중에 옛 어르신들 이름에 희귀한 한자가 많아서 한자폰트 다운 후에 확인해 봐야 합니다.

요런식으로 다운받은 폰트를 확인해 봐야 폰트가 쓸만한지 알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붉게 칠한 글자들은 폰트에 없는 글자들입니다.  저런 폰트는 다운받자 마자 지워버렸습니다.  쓸만한 폰트 찾기기 만만치 않습니다.

 

粗鋼體標準 宣姜禮嵂皥  이 글자는 제가  임의로  골라본 글자들 입니다.

이 글자들이 다 되면 아마도 다른 글자들도 잘 될 것 같지만  100% 확신은 불가능합니다.

각자 다운받은 폰트를 설치후에 엑셀 같은 곳에서 확인해 보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2. 대만정부 공개 폰트 찾다 :  CNS11643中文標準交換碼全字庫(簡稱全字庫) | 政府資料開放平臺 (data.gov.tw)

검색 중에 발견한 사이트 입니다.  대충 읽어보기에 대만 정부에서 공개한 폰트 같습니다.  그래서 이 곳에서 받은 파일중 하나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3. 은궁서 찾음 : 은궁서 다운로드

구글 검색을 통해서 찾았습니다.  바로가기

 

4.  폰트 확인

붉은 색 사각형 안의 글자들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한양해서를 제외하고 한글+한자 궁서체(해서체)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폰트는 구하기 어렵습니다.

 

5. 폰트 합치기  :  폰트합치기 방법 배우기 :  https://blog.naver.com/perafan/30113207479

인터넷에서 우연히 위의 폰트 합치기 글을 보고 나서 저도 따라 해보게 되었습니다

작업 방법은 위 사이트를 따라 했습니다.

 

6. 한글+한자 폰트 합치기 결과

TW-Kai-98_1.ttf 파일과 UnGungseo-2.ttf 파일을 합치기 했습니다.  (파일 이름은 다운받은 그대로 입니다.)

_TW-Kai+은궁서 : TW-Kai 파일에 없는 폰트는 은궁서 파일에서 가져왔습니다.

                       (은궁서 파일을 카피해서 TW-Kai 파일에 붙여넣기 한 겁니다)

      다운로드: https://drive.google.com/file/d/1bVQCBIK2irhCpg7_2qKut8iXQpSQBmj4/view?usp=sharing

 

_TW-Kai+은궁서.7z

 

drive.google.com

 

_은궁서+TW-Kai : 은궁서 파일에 없는 것은 TW-Kai 파일에서 가져왔습니다.

      다운로드: https://drive.google.com/file/d/1f84xT9HiBfgx25iyE6EJPfRUefA1_9fy/view?usp=sharing

 

은궁서+TW-Kai.7z

 

drive.google.com

 

 

주의:  이 파일이 저작권에 위배되는 것이 확인되면 즉시 삭제될 수 있습니다

 

Posted by 어쩌다 글쓰기
|